상단영역

본문영역

신소재 R&D 전과정에 데이터·AI 접목하면

과기정통부, '연구데이터 수집 및 공유 플랫폼' 구축...개발기간-비용 50% 절감 기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처=과기정통부)

[e경제뉴스 이춘영 기자] 미국은 항공기 랜딩기어 신소재를 개발할 때 탐색·설계 과정에서부터 연구데이터와 AI를 활용, 개발 기간을 9년 단축하고 개발비 350억원을 절감했다. 공정 최적화 및 양산화 전 과정에 이르기까지 혁신을 이룬 덕이다.

과기정통부가 데이터·AI를 소재연구에 접목, 실험 및 이론에 의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해 신소개 개발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경제부총리 주재로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방안을 확정했다.

이번 방안은 흩어져 있는 소재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안정적으로 수집·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미리 구축해 소재 R&D에 직접 활용하는 데 중점을 뒀다.

과기정통부는 추경을 통해 확보한 80억원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598억원을 투자해 연구데이터 수집·공유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우선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2021년까지 ▲'데이터 입력 표준 템플릿'을 확립하고 ▲'AI 학습이 가능한 메타데이터' 420만건을 수집하기로 했다.

수집 대상은 R&D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로, 과기정통부 소재 R&D 과제부터 타부처 과제, 기초연구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출처=과기정통부)

수집된 대용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소재 연구데이터 전용 초고성능 컴퓨팅' 환경을 2026년까지 구축하고 ▲2022년부터 신소재 탐색·설계부터 공정개발, 양산에 이르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소재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반도 조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KIST·KISTI·표준연의 역량을 결집한 단일체계를 마련해 '국가 소재 연구데이터 센터'로 지정한 다음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에너지·환경, 스마트·정보통신, 구조 등 소재 응용분야별 특화센터를 배치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부 R&D 과제에 대한 데이터 등록을 의무화하고, 데이터 계층에 따른 접근자격, 보안체계 등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마련키로 했다.

특히 소재 연구자와 기업이 AI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소재연구 혁신허브에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소부장 품목(338개+α)과 연계한 대형 신규 R&D와 단기 시범과제를 병행해 조기에 성공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연구데이터는 소재연구 파이프라인에 혁신을 가져올 기폭제"라며 "데이터 활용을 통해 발광다이오드(LED), 탄소섬유를 잇는 신소재가 국내에서 확보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